혼돈의 시장. 은행 파산, CPI 6%, 크레디트스위스 위기
최근 상황 모두 정리
실리콘밸리 은행의 갑작스러운 파산은 모두에게 상당한 충격이였다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칠 잠재적인 파급 효과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미국 정부는 다시 금융 시스템에 안정을 가져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모든 고객이 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갑작스러운 은행의 파산은 예금자들을 불안하게 했다
불안한 예금자들이 자신들의 돈을 은행에서 빼기위해 모여들기 시작했다
은행들이 고객의 예금 인출을 아무 문제없이 수행하기 위해, 연준은 은행이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자금 조달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게다가 미국 증시 개장 전,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나와 현재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 했다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CPI 6%
소비자 물가 지수는 여전히 6%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준은 연이은 은행들의 파산을 신경쓰면서, 동시에 높은 물가까지 생각해야한다
유럽 은행들도 위기
스위스의 대형 은행 크레디트스위스와 유럽의 일부 은행들도 현재 위험한 상황이다
위기가 알려진 이후, 크레디트스위스의 주가는 연일 최저치를 기록중이다
스위스 중앙은행은 크레디트스위스 지원 차원에서 530억 달러의 유동성 공급을 하겠다고 밝혔다
발표 이후 주가는 조금씩 회복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말 괜찮아?
한편 미재무장관 재닛 옐런은 의원들 앞에 서서 질문을 받았다
이런 연속적인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재닛 옐런 미재무장관은 미국의 금융시스템은 여전히 건전하다고 밝혔다
또 미국인들은 언제든 원할 때 예금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분명 실리콘밸리 은행이 파산하기 전에도 누군가는 같은 질문을 했었고, 그때도 우리는 시스템은 건전하다는 똑같은 대답을 들었었다
위의 내용들은 고작 한주 사이에 일어난 일들이다
'경제,금융,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상 최초의 경기 침체는? 역대 경기 침체 돌아보기. 1929년 대공황부터 코로나 불황까지 (0) | 2023.03.23 |
---|---|
대폭적인 신용 죽이기 + 연준의 포지션 변화 = 경기 침체. 에릭 존스턴 CNBC 인터뷰 (0) | 2023.03.21 |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 마법은 일어나지 않는다 (0) | 2023.03.16 |
현실적으로 경기 침체를 대비하는 개인의 전략 (1) | 2023.03.15 |
현실적으로 부자(백만장자) 되는 방법 feat.월 500달러 (0) | 2023.03.14 |
댓글